현장안전보건사례 7

[현장사례] 건설용 리프트 비상구 유압실린더 / 자재작업발판 설치

▷ 건설용리프트 상부 비상구 덮개가 무게가 있어서 손끼임 위험이 높다. 유압실린더를 설치하여 천천히 닫음할 수 있는 시설이다. 대부분 설치되어 들어오지만, 시공업체(리프트)에게 필히 챙겨보길 바란다. ▷ 건설용리프트 이용시 지게차 등으로 자재반입시 별도 발판을 해줘야 한다. (조적,단열재 등 각종 자재를 적치) 이에 단부가 발생하는데 난간대를 필히 설치하게 되어 있다. 하지만 현장 현실상 난간대 관리가 너무너무 어렵다. 매번 해체 후 복구가 거의 잘 안된다.

건설안전실무 2024.08.28

[현장사례] 거푸집, 개구부덮개 일체형 제작 (설비 제연 덕트)

▶ 설비제연덕트 개구부덮개를 선시공하여 추락위험이 높은 개구부 안전시설 유용하다.▶ 설계단계에서 안전을 고려한 시공+안전 사례이다.▶ 다만, - 산업안전보건법 상에 개구부 덮개에 대한 충분한 강도를 구조적으로 확인이 요구됨 - 알폼 등의 후속공종이 자재인양을 위해 임의 파손 및 미복구가 많다는 점을 참고하여야 한다.

건설안전실무 2024.08.26

[현장사례] 제연덕트 설치 방법 변경으로 추락구간(개구부) 제거사례

▶ 일반적으로 설비덕트 설계는 슬라브 높이에 맞추어져 개구부덮개 파손 등의 우려가 높아, 개구부가 형성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. ▶ 설계단계에서 덕트시공시 다음과 같이 변경하게 되면 개구부 발생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좋은 사례라고 판단된다. (이런 것이 의미있는 DFS-설계안전성평가 이다.)

건설안전실무 2024.07.16