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현장사례] 타워크레인 충돌방지 시스템 구축 ▶ 타워간 지브가 접근시에 경보와 시각적인 효과를 주고, 중앙통제실(현장안전팀)에서 타워 지브의 움직임 및 핸드폰으로도 확인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현장 안전관리에 긍정적인 사례라고 보여진다.▶ 실효성의 문제는 얼마나 도구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는가의 문제인듯 하다. 건설안전실무 2024.08.10
[현장사례] 항타기 부상토 낙하물방지시설 개선조치 ▶ 흔히 파일공사 리바운드체크시 부상토의 낙하물 방지시설로 일명 '개집'을 사용하는데, 본 사례는 '개집' 사용시 운반의 번거러움과 낙하지점에 가까워 지면서 낙하물비산 범위를 줄여준다는 점에서 좋은 사례이다. ▶ 하지만, 리바운드 측정자가 상부에 있는 낙하물방지시설 위치 인지를 잘못하면 오히려 위험에 노출될 소지가 있어 보인다. *리바운드체크란 ? 파일이 지반에 근입되어 최종관입량(기준) 도달했는지, 파일에 해머로 타격하여 측정하는 것 건설안전실무 2024.08.09
[현장사례] 콘크리트 양생구간 내부 일산화탄소/연기감지기 표지판 ▶ 통상 양생작업구간 복합가스측정을 위해 휴대용 복합측정기를 가지고 측정을 한다.▶ 측정인원 상주없이 일산화탄소 위험농도를 감지하여 경보해주는 사례이다. 건설안전실무 2024.08.07
[현장사례] 초기 화재 진압 소화로프 ▶ 안전과 관련되는 제품들이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다.▶ 화재발생시 가장 중요한 것은 초기에 작은 불씨를 잡는것이다. 좋은 제품으로 사료된다. 건설안전실무 2024.08.06
[현장사례] RCS 일체형 낙하물방지망 ▶ 초고층공사의 골조거푸집 및 작업발판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RCS(Rail Climbing System)공법에 낙하물 방지를 위한 안전가시설이다. ▶ 비용을 떠나서 설계(풍압, 자체하중, 콘크리트누설시 추가하중 등)어려움과 운영이 쉽지 않는 안전시설물 중에 하나이며, 현장 안전팀의 안전관리 수준과 노력이 많이 요구되는 어려운 시설물이다. ▶ 해당 시설물은 RCS와 일체화시켜 RCS상승시 같이 상승(Climbing)되는 구조인듯 하다. 현장 안전팀의 노력과 기술력이 느껴진다. 건설안전실무 2024.08.01
[현장사례] 조도확보용 이동식 조명(알폼층 조도) ▶ 산업안전보건법상 조도확보는 최소 75Lux이상이다. ▶ 선행골조층의 경우, 가설전선이 있는 전등을 사용을 하는데, 형틀 해체시 전선손상 등으로 정전이 되는 경우가 많고 전원연결지점부터 관리가 어렵다. ▶ 어두운 구간에 휴대용조명 하나가 있고 없고가 정말 큰 차이가 난다. ▶ 제품 홍보가 아니라, 실제 현장에서 유용하게 사용되는 휴대용 조명이다. (단, 법정조도를 다 확보할 수는 없다. 법정조도는 제조업에 가서 따져라....) 건설안전실무 2024.07.30
[현장사례] 항타기 부상토 낙하물방지시설 개선사례 ▶ 파일항타 공종이 있는 현장은 늘 고민하는것 중 하나가 부상토 낙하이다.▶ 리바운드 체크시 작업자가 파일 리더 밑으로 들어가야 하는데, 사망사고 사례가 간혹있는 작업이다.▶ 부상토 낙하에 대한 대응방법으로 흔히 '개집'을 이용하는데, 본 사례는 '개집'을 옮길 필요가 없이 사용할 수 있는 낙하방지 시설물이다. but, 리바운드 체크 위치가 틀려지면 무용지물이 되는 시설물이 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. 건설안전실무 2024.07.29
[현장사례] 파일공사 최종관입량 자동측정시스템(PDAM 시스템) 적용 ▶ 우리 안전관리자가 가장 착각하는게, 왜 시공안전을 우리가 해야 하지..? 라는 것이다.▶ 일반안전 사고는 사람 1~2명 다치지만, 시공안전 사고는 다수의 인명피해를 가져온다.▶ 본 사례는 굳이 리바운딩 체크를 하기 위해 파일 밑에서 측정하지 않아도 되는 시공안전을 검토된 사례이다. 건설안전실무 2024.07.27
[현장실무] 동절기 계절성 재해예방 관리 ■ 가열식 전기제품 관리▶ 전기를 열원으로 하는 전기기구에 대한 관리방법. ■ 임시소방시설 설치 방안 ▶ 화재예방에 관련한 법령기준에 의거 건설현장 임시소방시설에 대한 현장적용 설치 방법. ■ 동절기 질식사고 안전관리 방법 ▶ 양생구간 및 지하저수조 등 동절기 질식사고를 예방을 위한 현장 안전관리 방법. ■ 열풍기 사용 안전관리 방법 ▶ 양생을 위한 등유을 열원으로 하는 열풍기에 대한 현장 안전관리 방법. ■ 동절기 한랭질환 안전관리 방법 ▶ 기온저하에 따른 한랭질환에 대한 현장 안전보건관리 방법 ■ 동절기 중독사고 안전관리 방법▶ 방동제 음용 등의 중독사고 예방을 위한 현장 안전관리 방법. 건설안전실무 2024.07.17
[현장사례] 제연덕트 설치 방법 변경으로 추락구간(개구부) 제거사례 ▶ 일반적으로 설비덕트 설계는 슬라브 높이에 맞추어져 개구부덮개 파손 등의 우려가 높아, 개구부가 형성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. ▶ 설계단계에서 덕트시공시 다음과 같이 변경하게 되면 개구부 발생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좋은 사례라고 판단된다. (이런 것이 의미있는 DFS-설계안전성평가 이다.) 건설안전실무 2024.07.16